-
-
80
번호 | 제목 | 기관 | 분류1 | 분류2 | 작성일 | 조회수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892 | 소독용품으로 락스 사용 가능 여부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07 |
891 | 의료폐기물 소독에 사용가능한 약물에 대한 안내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92 |
890 | 의료폐기물 보관장소 소독대장 기록 여부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97 |
889 | 의료폐기물 보관장소의 소독 기한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67 |
888 | 환자에게 사용한 초음파젤을 닦은 물건의 의료폐기물 포함 여부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93 |
887 | 의료 행위로 사용한 침상을 닦은 티슈의 의료폐기물 포함 여부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399 |
886 | 격리병동 내 간호 스테이션에서 사용하는 폐종이 및 물품박스 처리방법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15 |
885 | 격리병실 환자 보호자 생활용품의 의료폐기물 포함 여부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10 |
884 | 격리병실 환자 생활용품의 의료폐기물 포함 여부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82 |
883 | 격리병실에서 사용한 마스크의 의료폐기물 해당 여부 | 환경부 | 자원순환정책관 | 폐자원관리과 | 2024-12-04 | 455 |